포스트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

김초엽 작가님의 SF 단편 모음집입니다. 장르가 주는 기대감과는 다르게 배경만 미래이고 사람이 중심인 이야기입니다. 즉, 과학 기술은 그 상황과 환경을 위한 도구일 뿐입니다. 영화나 소설이나 국내 작품은 이렇게 현실과 닿아있는 이야기를 매끄럽게 풀어나가는데 발군인가 봅니다. 과학에 방점을 두는 제게는 좀 아쉽긴 했지만, 이야기 자체는 한번쯤 생각해볼만한 내용으로 차곡이 채워져 있었습니다.


첫 만남

희진은 그렇게 첫 번째 루이를 만났다.

공생 가설

아마도 우주에 관한 것이라면 인간이 개척한 이야기이거나 새로운 존재를 만나는 이야기로 크게 나뉠겁니다. 특히 후자인 경우는 작가가 풍부한 상상력으로 흥미로운 필력을 갖췄다면 독자는 이야기에 푹 빠져들기 마련입니다. 그리고 이런 존재를 만났을 때 우린 어떻게 반응하게 될지 어떻게 보면 뻔합니다. 정복하던지, 정복 당하던지. 동등한 힘이라면 교류하겠지만, 작가는 좀 더 고귀한 존재로써 다가가야 한다고 이야기합니다. 그리고 이런 존재를 루이라는 생명체에 글 여백을 담아 그려냅니다.


되돌릴 수 없는 선택의 순간

나는 내가 가야 할 곳을 정확히 알고 있어.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

제목이 참 마음에 들었던 단편이었고, 저자도 마찬가지였던지 이 책 제목으로 사용했습니다. 우주 개척 시대가 지나 가족과 떨어지게 된 주인공이 이젠 더 이상 만날 수 없게 되어 뒤늦게 나서는 모습을 그립니다. 우주라는 인간이 도저히 넘어설 수 없는 이 광활한 공간에서도 물리적으로 더 진한 한계를 그려놓는 건 영리한 구성이었습니다. 그런 상황에서 더 이상 물러설 필요도 의미도 없는 사람에게 선택이라는 건 어찌보면 당연한 귀결이긴 합니다. 아직 개척도 제대로 시작해보지 않은 미지의 공간에 대해 끝을 생각했다는 것에서 상상력이 가진 힘에 놀라게 됩니다.



SF 장르를 생각할때면 기술이 가진 가능성에 흥미로운 상상을 더해 액션같은 오락 영화를 기대합니다. 그에 반해 저자는 이 기술이 사람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감성적이면서도 철학적인 질문으로 마무리합니다.

이 기사는 저작권자의 CC BY 4.0 라이센스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