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힐빌리의 노래

위기의 가정과 문화에 대한 회고

힐빌리의 노래

Hillbilly Elegy

A Memoir of a Family and Culture in Crisis
J. D. Vance | 2016


‘배움의 발견’ 남자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저자 가정에 문제를 일으키는 가장 큰 부분은 약물 중독에 빠진 어머니입니다. 배경은 미국 러스트벨트 지역으로 무너진 중산층이 빈곤 속에 보낸 어린 시절입니다. ‘배움의 발견’이 극단적인 가정 환경과 이를 벗어난 이야기에 집중되어 있다면, ‘힐빌리의 노래’는 비슷한 가정 환경과 빈곤층이 주는 좌절감을 몸소 겪은 이가 정부 정책으로 좀 더 연결지어 이야기 합니다. 그리고 가난이 세대를 거쳐 이어질때 그 늪을 빠져나가기가 얼마나 힘들어지는지도 깨닫게 합니다.


복지 논쟁의 다른 얼굴

대다수가 ‘복지 여왕’이라는 용어를 들으면
실업 수당에 의존해 생활하는 게으른 흑인 엄마 같은
못마땅한 이미지를 떠올릴 테지만,
이 책의 독자들은 책의 내용이 그런 끔찍한 흑인 엄마와는
별 연관성이 없음을 금세 알게 될 것이다.
나는 주변에서 복지 여왕을 여럿 봐왔다.
몇몇은 내 이웃이었고, 그들은 하나같이 백인이었다.

프롤로그

복지를 얘기할 때 이를 악용하는 사람에 대해 반발합니다. 그리고 그런 사람이 실제로 있다는 걸, 아니 많다는 걸 저자는 얘기합니다. 게다가 그 대상이 미국 기준으로 특정 부류가 아니라 주류로 분류되는 사람들이라는 걸 짚습니다. 한때는 중산층이었던 이들이 기반이 무너지고 가난에서 헤어나오지 못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어떻게 개선해 가야하는지와 그 한계도 말합니다.


아이를 지켜낸 마지막 울타리

우리가 차에서 내리자 할모와 할보가
나를 안아주며 괜찮으냐고 물었다.
할모는 나를 한 바퀴 돌려보며
몸 구석구석을 찬찬히 살폈다.
그러고는 경찰관에게 어디를 가야
구금된 딸을 만날 수 있느냐고 물었다.

5. 길게 줄 선 아버지 후보자들

가난이 인격을 무너뜨린다는 얘기를 많이 합니다. 하물며 아이에게는 얼마나 큰 영향을 끼치게 되는지 따져보지 않아도 명확합니다. 이런 상황에 부모가 그 역할을 못할 때 아이에겐 마지막 기회까지 사라지는 것일 겁니다. 저자에겐 그 역할로 조부모, 특히 할머니가 계셨습니다. 사회복지로 살아가야 하는 상황에도 손주들을 돌보았습니다. 단순히 경제적 지원이 아니라 어떤 존재가 되어야 하는지 생각해 보게 됩니다.



이 책이 정책에 대한 부분과 연관되어 있다고 하여 사회에 중심된 내용은 결코 아닙니다. 본인 노력과 무관하게 우연히 가난에서 벗어나게되는 과정에서 신분이 상승되는 과정 속에 법과 관련된 일을 하다보니 자연스럽게 이런 내용들이 나오는 것일 겁니다. 지금은 자수성가한 사람이 이런 밑바닥에서 벗어나는 걸보면 참 경이로울 뿐입니다.

이 기사는 저작권자의 CC BY 4.0 라이센스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