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마법의 연금 굴리기

연금저축, IRP, ISA 절세 삼총사를 ETF로 자산배분하라

K-올웨더 포트폴리오를 만든 분입니다. 이를 ‘절세’에 도움이 되는 연금에 적용한 내용입니다. 개발자로 시작한 저자 김성일님은 금융권에서 일한 이력이 있습니다. 탁월한 분석력으로 체계화시킨 ETF 기반 자산배분 투자 전력을 연금에 적용하기에 좋은 대안을 제시합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은퇴 준비 자금의 크기에 따라
① 연금저축에 600만 원,
② IRP에 300만 원,
③ 연금저축에 900만 원의
순서로 불입하는 게 좋다.

3. 절세 삼총사를 이해하자

연금에는 세 가지 설세 방안이 있습니다. 연금저축, IRP, ISA. 저 같은 경우는 직장생활을 해서 IRP 계좌를 가지고 있고, 제대로 굴리질 못한 상황입니다. 그래서 이 책을 탐독하기 시작했는데, 이번에 ISA 에 대해 좀 알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더 중요한 연금저축도 알게 되었는데, 중요한 건 이 세 가지를 어떻게 굴려야 하는지 소득 극대화라는 초점에 저자분이 참 잘 분석해 놓았다는 겁니다. 인용구에는 너무 짧게만 작성되어 있지만, 좀 더 자세한 내용은 책을 통해 확인하기 바랍니다.

혹시 ETF 를 투자하시는 분들이 있다면, 이 절세에 최적화된 방식인 세 계좌를 이용하는 걸 추천합니다. ETF 를 투자한다는 것 자체가 중/장기 투자일테니, 연금방식으로 바꾸는 것도 좋은 방안이 아닐까 싶습니다. 더군다나 ISA 같이 3년 만기 방식도 있으니 이런 좋은 방안이 있다는 걸 염두에 둘 필요가 있겠습니다. 성일님이 책 초반에 말했듯이 재무상담가를 통하는 방법도 있겠지만, 결국 이들도 수수료로 수입을 책정하니, 우리같은 서민들은 스스로 좋은 방안을 찾아나서야 합니다.


K-올웨더의 모델 포트폴리오MP, Model Portfolio
주식, 대체투자, 국채를 50%, 20%, 30%로 나누었다.
투자자의 위험감내도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K-올웨더를 성장형·중립형·안정형으로 나눈다.
나누는 방법은 각각의 현금성자산을 5%, 20%, 40%를 배분한 다음
나머지 비중을 모델 포트폴리오의 비율대로 맞춘다.

[표39] 위험선호도별 K-올웨더 포트폴리오 예시

구분자산군 (추천 ETF)MP성장형중립형안정형
주식미국 주식(UH)
(KODEX 미국 S&P500TR)
(KODEX 미국 S&P500)
25.0%24.0%20.0%15.0%
 한국 주식
(KOSEF 200TR)
(KIWOOM 200TR)
8.0%8.0%6.0%5.0%
 중국 주식(UH)
(KODEX 차이나 CSI300)
8.5%8.0%7.0%5.0%
 인도(UH)
(KODEX 인도 Nifty50)
8.5%8.0%7.0%5.0%
대체
투자
금(UH)
(ACE KRX금현물)
20.0%19.0%16.0%12.0%
국채미국채 10년(UH)
(KODEX 미국채10년선물)
7.5%7.0%6.0%4.5%
 미국채 30년(H)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H))
7.5%7.0%6.0%4.5%
 국고채 30년
(KBSTAR KIS국고채30년Enhanced)
(RISE KIS국고채30년Enhanced)
15.0%14.0%12.0%9.0%
현금성
자산
현금성자산
(TIGER KOFR금리액티브(합성))
0.0%5.0%20.0%40.0%
합계 100.0%100.0%100.0%100.0%

5. 경제의 사계절을 극복하는 'K-올웨더' 포트폴리오

K-올웨더 포트폴리오는 저자가 다른 책에서 처음 밝힌 것으로 압니다. 이 책에서는 연금에 적용하는 방안으로 비율과 해당 자산군을 2023년 기준으로 비율과 함께 표로 작성해 놨습니다. 급하신 분들은 이 표만 보고 따라해도 되겠습니다. 인용구는 책 원문을 그대로 사용해야 하는데, 저도 적용해보려고 찾아보니 나오지 않는 부분이 있어 이름이 변경되거나 상품이 변경된 사항을 찾아 위 표에 수정해 놓았습니다. 이 문서를 작성하기 전날했으니 기준은 2025년 4월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KODEX 미국 S&P500TR 은 TR 상품이 없어져서 KODEX 미국 S&P500로 교체했습니다. 이 부분은 저자 의견을 찾아보고 싶었는데, 찾질 못해 그냥 두었습니다. 분기에 한 번 배당을 하게 되니 분기마다 리밸런싱할 때 참고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책에는 나와 있지 않아 제가 헤맨 부분인데 UH 는 환노출형Unhedged입니다.


IRP 계좌에서는 앞서 설명한 K-올웨더 포트폴리오를 그대로 굴릴 수가 없다.
앞서 말한 규정을 준수하도록 포트폴리오를 변경했다.
[표53]의 IRP용 K-올웨더를 보면
기존 K-올웨더에 포함됐던 ‘KODEX 미국채10년선물’이 빠지고
‘KODEX 200미국채혼합’ ETF가 추가되었다.
‘KODEX 200미국채혼합’은 한국 주식과 환노출 미국채에 4:6으로 투자하는 상품이다.
그에 따라 ‘KOSEF 200TR’ 배분 비중도 줄여 전반적인 밸런스를 맞췄다.

[표53] IRP용 K-올웨더 포트폴리오 예시

구분자산군 (추천 ETF)MP성장형중립형안정형
주식미국 주식(UH)
(KODEX 미국 S&P500TR)
(KODEX 미국 S&P500)
25.0%24.0%20.0%15.0%
 한국 주식
(KOSEF 200TR)
(KIWOOM 200TR)
3.0%3.5%2.0%2.0%
 중국 주식(UH)
(KODEX 차이나 CSI300)
8.5%8.0%7.0%5.0%
 인도(UH)
(KODEX 인도 Nifty50)
8.5%8.0%7.0%5.0%
대체
투자
금(UH)
(ACE KRX금현물)
20.0%19.0%16.0%12.0%
국채미국채 10년(UH)+한국 주식
(KODEX 200미국채혼합)
12.5%11.5%10.0%7.5%
 미국채 30년(H)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H))
7.5%7.0%6.0%4.5%
 국고채 30년
(KBSTAR KIS국고채30년Enhanced)
(RISE KIS국고채30년Enhanced)
15.0%14.0%12.0%9.0%
현금성
자산
현금성자산
(TIGER KOFR금리액티브(합성))
0.0%5.0%20.0%40.0%
합계 100.0%100.0%100.0%100.0%

8. IRP~ 이렇게 굴려라

제가 제일 궁금했던 것은 IRP 계좌에서 K-올웨더 포트폴리오입니다. 표를 가져와서 구분하려니 잘 안 되어서 표기를 밑줄로 좀 바꾸었습니다. 제게 더 참고가 된 부분은 IRP 계좌를 퇴사할 때마다 별도로 만드는 것입니다. 적용 기간도 달라지고, 만약에 해지해야할 경우 기간이 짧은 걸 먼저 하는 방안이 옮게 여겨졌기 때문입니다. 안 그랬다면 전 IRP 계좌에 모두 몰아넣었을 겁니다.



도서 리뷰가 단순한 요약이 되어 버렸습니다. 제가 바로 적용하기 위해 필요했던 것들이라 요약한 내용과 변경 사항들을 남겨 놓고자 하는 목적이 더 강했던 탓입니다. 이런 분석력을 가지려면 인내심도 있어야 하지만 타고난 성격도 필요합니다. 그리고 이를 잘 발현한 예가 아닐까 싶습니다. 저도 개발자다 보니 이렇게 분석하는 걸 좋아하는 친구들이 제법 됩니다. 그리고 그 파고드는 방향이 엉뚱할 때가 많습니다. 게다가 전공이 수학이다 보니 숫자를 좋아하긴 하는데, 이런 수치 문해력은 의외로 낮은 저에겐 오히려 이런 분들이 부럽기만 한 건 부끄러움으로 다가오기도 합니다. 여튼. 연금 관련 계좌를 하나라도 가지고 계신 분들이라면 꼭 이 책을 일독하시길 권합니다.

이 기사는 저작권자의 CC BY 4.0 라이센스를 따릅니다.